본문 바로가기
정보알림센터

의성 안동 산불 지역 지도|산청 하동 울주 산불 지도|현황|영상|원인

by 정보주민센터 2025. 3. 26.
반응형

의성 안동 산불 지역 지도|산청 하동 울주 산불 지도|현황|영상|원인


2025년 3월 14일, 청도에서 발생한 산불을 시작으로 영남권에서 연쇄적인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이 산불은 40,000㏊ 이상의 임야를 소실시키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로 기록되었습니다. 또한, 이번 산불은 인명 피해를 포함한 큰 피해를 낳으며 현재까지 네 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기록한 산불로 알려졌습니다. 하루 빨리 산불이 완진 되기를 바라며 정보를 전달하는 마음으로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영남권 산불

3월 22일 위성지도 / 영남권 산불 지역 지도


경북 의성 / 안동 / 청송 / 영양 / 영덕 / 군위 / 울진 / 주왕산 산불 현황

◇ 산불 발화 시간

의성군 안평면: 2025년 3월 22일 11시 24분

의성군 안계면: 2025년 3월 22일 14시 39분


◇ 산불 발생 위치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 61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297-3


◇ 피해 지역 / 지도

의성군 / 안동시 / 청송군 / 영양군 / 영덕군 / 군위군 / 울진군 / 주왕산 / 고운사 / 운람사

전소된 고운사


◇ 화재 원인 / 산불 원인

의성군 안평면 : 성묘객 실화로 추정

출처 MBC

의성군 안계면 : 현재 조사 중(고속도로 인근에서 발화)

 

안동시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청송군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영양군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영덕군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군위군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울진군 산불 원인 : 의성군 산불이 바람을 타고 확산

 

 


◇ 사상자

26일 14 기준 : 총 19명

 

경북 의성군

총 사망자 수: 1명

(소방 헬기 추락 :조종사 1명)

 

경북 안동군

총 사망자 수: 3명

임동면 박곡리: 50대 여성 (사인: 산불 피해로 추정)

임하면 신덕리: 70대 여성 (사인: 연기 흡입으로 추정)

 

경북 청송군

총 사망자 수: 3명

파천면: 80대 여성 (사인: 산불 피해로 숨짐)

진보면 시량리: 70대 남성 (사인: 대피 도중 숨짐)

청송읍: 65세 여성 (사인: 대피 중 불에 탄 채 발견)

총 실종자 수: 1명 - 진보면 기곡리: 치매 앓고 있는 80대 여성 경북

 

경북 영양군

총 사망자 수: 6명

석보면 포산리: 3명 (사인: 산불 피해, 일가족 차 전복 사고)

석보면 화매리: 60대 여성 (사인: 불에 탄 채 발견)

 

경북 영덕군

총 사망자 수: 7명

영덕읍 매정리: 3명 (사인: 차 폭발 사고로 사망)

영덕읍 매정1리: 2명 (사인: 불에 타 숨짐)

축산면: 1명 (사인: 매몰되어 숨짐)


◇ 피해면적

37,860 ㏊ 이상 (계속 집계중)


◇ 26일 현재 진화율

66%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안동 / 청송 / 영양 으로 퍼지고 있어 확실한 집계 어려움


◇ 3월 26일 산불 진화 상황

빨간선 : 화선 / 노란선 : 진화완료 / 파란선 : 바람방향


◇ 상황 요약

2025년 3월 22일 기사에 따르면, 의성-안동 산불의 시작이 된 안평면 대형 산불은 성묘객에 의한 실화로 추정되었습니다. 성묘객은 119에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신고했으며,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봉분은 계곡 지형에 위치해 있어 평소에도 강풍이 자주 몰아치던 곳이었습니다. 현장에서는 파란색 라이터와 술병 뚜껑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불이 시작된 경위를 추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보도에 따르면, 사실 성묘객이 직접 신고한 것이 아니라 괴산1리 마을 이장이 화재 발생 직후 현장에 급히 내려와 연기가 나고 있던 성묘객 2명을 붙잡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마을 이장은 성묘객들에게 어디로 가는지 물었으나 이들이 답하지 않고 그냥 가려 하자, 차량 번호판을 찍어두고 도망가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합니다. 결국 성묘객들은 이장의 지시에 의해 자수하거나 신고를 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발화 지점에서 라이터와 술병 뚜껑이 발견된 사실은 이 사건의 중요한 단서가 되었습니다. 이에 의성군 특별사법경찰은 성묘객을 의성 산불을 낸 혐의로 입건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산불이 커지게 된 원인도 있었습니다. 의성은 원래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지역이었으나, 기후위기로 인해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에서 고수온 현상이 심각해졌고, 고기압이 발달하여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3월부터 건조한 환경이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실화가 발생하자, 산불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습니다. 이로 인해 2025년 3월, 영남권에서 집중적으로 산불이 발생하게 된 원인으로 작용한 것입니다.

이러한 산불 발생은 기후위기의 일환으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김백민 부경대학교 환경대기학과 교수는 산불 위험 시기가 4월에서 3월로 앞당겨진 것은 기후위기의 증거라고 지적하며, 앞으로 발생할 산불에 대해 더욱 우려를 표했습니다. 또한, 남고북저형 기압배치로 서풍이 불며 바람이 영남권 산불 확산을 더욱 키운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한편, 금성면과 안계면에서 발생한 산불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안계면 산불은 고속도로 인근에서 발화 지점이 확인되어,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경남 산청 / 하동 / 진주 / 지리산 산불 현황


◇ 발화시간

2025년 3월 21일 15시 26분

 


◇ 발생위치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산 39


◇ 피해 지역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 단성면 / 하동군 옥종면 / 진주시 수곡면 / 지리산


◇ 화재원인

현재 조사중 (예초기 화재로 인한 발화 추정)


◇ 사상자

사망

4명(진화대원 및 공무원)

 

부상

8명


◇ 피해면적

1685 ㏊ 이상 (계속 집계중)


◇ 26일 현재 진화율

90%


◇ 3월 26일산불 상황

빨간선 : 화선 / 노란선 : 진화완료 / 파란선 : 바람방향


◇ 3월 27일산불 상황

빨간선 : 화선 / 노란선 : 진화완료 / 파란선 : 바람방향


◇ 상황 요약

이번 산불로 인해 다수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천문학적인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산청과 하동에서는 주택, 사찰, 창고 등 총 57개의 건축물이 소실되는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또한, 인근에 있던 SM5 승용차도 산불에 휩쓸려 전소되는 등 차량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에서는 900년 수령의 시도기념물 은행나무가 일부 소실되는 피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강민첨 장군을 모시는 사당인 두방재 부속 건물 2채도 전소되어 귀중한 문화재가 파괴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산불 연기는 멀리까지 번져 진주시와 사천시 등 인근 지역에서도 간접적인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산불 연기 때문에 탄내가 진동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3월 22일 오후에는 해가 붉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 많은 주민들이 기후 변화와 산불의 심각성을 더욱 실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화재 현장에서는 산소들이 모조리 불에 타버린 상황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상당수의 산소가 검게 변했고, 일부는 잿더미에 파묻혀 형체조차 찾기 힘든 충격적인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는 산불이 얼마나 치명적이고, 대규모로 확산됐는지를 잘 보여주는 장면이었습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 온양 / 언양 산불 현황

◇ 발화시간

온양읍

2025년 3월 22일 12시 12분

 

언양읍

2025년 3월 25일 11시 54분


◇ 발생위치

온양읍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972-1답

 

언양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송대리 산32-1


◇ 피해 지역

온양읍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일대

 

언양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송대리 일대


◇ 화재원인

온양읍

용접 작업 중인 농막에서 비화로 추정중

 

언양읍

등산객 실화로 추정중


◇ 사상자

온양읍

부상 3명

 

언양읍

집계중


◇ 피해면적

온양읍

658 ㏊

 

언양읍

63 ㏊

 


◇ 3월 26일 현재 진화율

온양읍

98%

 

언양읍

완진


◇ 3월 26일 울주군 온양읍 산불 진화 상황

빨간선 : 화선 / 노란선 : 진화완료


◇ 3월 27일 울주군 온양읍 산불 진화 상황

빨간선 : 화선 / 노란선 : 진화완료


◇ 울주군 온양읍 산불 상황 요약

3월 25일 오전 7시 기준으로 산불 영향 구역은 435㏊에 달했고, 진화율은 98%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12시가 되면서 진화율은 92%로 감소했습니다. 14시경 울주군 언양읍에서 새로운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진화 인력이 분산되어 진화 속도가 떨어졌습니다. 15시 기준으로 산불 영향 구역은 467㏊로 확대되었고, 21시에는 10개 마을에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오후 10시 22분에는 용당 내광로 일대의 교통이 전면 통제되었으며, 강풍으로 인해 산불이 재확산된 것으로 보였습니다.

3월 26일 1시 40분 기준으로 울산-부산 고속도로 온양IC 인근에서 산불이 재발화하였고, 온양IC의 진출입로가 다시 통제되었습니다. 2시 40분에는 남창천교와 대운천교 일대에서 산불이 확산되었으며, 어제에 비해 산불이 크게 확대된 상황이었습니다. 6시 40분 기준으로 용당 내광로 일대에서 교통통제가 해제되어 통행이 재개되었습니다. 7시 40분에는 온양IC의 진출입로가 다시 개방되었지만, 재통제될 가능성이 있어 시민들은 안전문자를 통해 수시로 교통 정보를 확인해야 했습니다.

12시에는 강풍으로 인해 진화율이 78%로 크게 감소했으며, 오전 11시경에는 산불이 양산으로 확산되면서 경계를 넘어갔습니다. 산불의 확산과 강풍은 진화 작업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었으며, 계속해서 피해가 확대되고 있었습니다.

 

◇ 울주군 언양읍 산불 상황 요약

3월 25일 오후 2시 기준으로 산불 대응 1단계가 발령되었습니다.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최대 10㎧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산불의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었습니다. 14시 30분, 울주군 언양읍 주거단지 뒤쪽에서 강한 산불이 급격히 확산되었고, 상황은 점차 심각해졌습니다. 오후 5시 20분에는 산불 대응이 2단계로 격상되었으며, 오후 6시 30분 기준으로 산불 영향 구역은 60㏊에 달하고 진화율은 74%에 그쳤습니다. 특히, 산불이 인근 아파트 대단지로 확산되었고, 주민들은 소화전을 이용해 자체적인 진화 활동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저녁 8시에는 진화율이 98%로 향상되었고, 산불 영향 구역은 61㏊로 늘어났습니다. 전체 화선은 5㎞였으며, 남은 화선은 0.1㎞로 거의 진화가 완료되었습니다.

3월 26일 오전 8시 30분 기준으로 초진이 완료되었으며, 산불 영향 구역은 63㏊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번 산불은 강풍과 빠른 확산 속도로 인해 주민들의 자발적인 진화 활동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며, 대응 2단계로 격상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이뤄졌습니다.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빨리 완진되어 더 이상의 피해가 확산되지 않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소중한 생명을 잃은 이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모든 피해 지역 주민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5.03.27 - [정보알림센터] - 무주 산불 지역 지도|원인|전북 무주|진화율|적상산|지역지도|누전

 

무주 산불 지역 지도|원인|전북 무주|진화율|적상산|지역지도|누전

무주 산불 지역 지도|원인|전북 무주|진화율|적상산|지역지도|누전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이 수일간 계속되며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속속 발생하고 있

information.homeostasises.com

2025.03.25 - [정보알림센터] - 의성 안동 청송 산불 위치|원인|경북|진화율|산불 지도|지역|성묘

 

의성 안동 청송 산불 위치|원인|경북|진화율|산불 지도|지역|성묘

의성 안동 청송 산불 위치|원인|경북|진화율|산불 지도|지역|성묘2025년 3월 22일, 경상남도 산청군 일원에서 큰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경상북도 의성군에서도 세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information.homeostasises.com

2025.03.25 - [정보알림센터] - 산청 하동 산불 위치|원인|현황|진화율|경남산불 지역|지도|예초기

 

산청 하동 산불 위치|원인|현황|진화율|경남산불 지역|지도|예초기

산청 하동 산불 위치|원인|현황|진화율|경남산불 지역|지도|예초기2025년 3월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큰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경남 산청과 김해에서 발생한 산불은 각각 닷새째와 나흘째

information.homeostasises.com

2025.03.25 - [정보알림센터] - 울주 온양 언양 산불 위치|원인|울산|진화율|울주 산불 지도|지역|

 

울주 온양 언양 산불 위치|원인|울산|진화율|울주 산불 지도|지역|

울주 온양 언양 산불 위치|원인|울산|진화율|울주 산불 지도|지역|전국적으로 건조한 날씨에 경북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2025년 3월 22일, 울주군

information.homeostasises.com

반응형